언어 16

다이어그램. diagram. 도표(圖表). 도해(圖解)

[표준국어대사전] 1. 수량이나 관계 따위를 나타낸 도표(圖表). 수출량 증가율을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다. 2. 열차 운행표. 3. 행사 예정표나 일람표. [Merriam-Webster’s Learner’s Dictionary. (NAVER)] a drawing that explains or shows the parts of something [YBM 영어사전. (NAVER)] 명사 a. 그림, 도표, 도형; 일람도; 도해(圖解). draw a diagram 도표를 만들다. b. 약도, 설계도; 해도[chart, (海圖)]; 〈수학〉 작도, 도식. c. 예정표, 일람표; (열차의) 운행표. 타동사 …을 도표로 나타내다, 도해하다; …의 도표를 만들다. Etymology. (ref.) diagram (n...

언어 2022.01.15

신문. 맞춤법. / 올바른 맞춤법, 신문을 바꾼다.

특히 기자가 '한 문장을 쓰더라도 오탈자가 없도록 하는 자세'가 왜 필요한지, 올바른 맞춤법이 신문을 어떻게 바꾼다는 것인지 알고 싶으나, 기사에 관련 내용이 없어 아쉽니다. ? 그런데 이 기사에도 띄어쓰기가 잘못된 곳이 있네. ... '올바른 맞춤법, 신문을 바꾼다'란 주제로 언론교육을 실시했다. ... "요즘 지방신문은 물론 중앙지에 조차도 교열기능이 갈수록 축소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교열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력충원이 무엇보다도 시급한데 이에 앞서 기자들의 올바른 맞춤법, 띄어쓰기, 외래어 등의 공부가 수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립국어원에서 내놓은 맞춤법에 근거한 공부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한 문장을 쓰더라도 오탈자가 없도록 하는 기자들의 자세가 중요하다”고 강의의 서두를 ..

언어 2021.12.28

중앙대 의대생. 손정민. / 수색견 오투 / 양가감정. 兩價感情, ambivalence.

이번 사건을 보면서, 경찰은 정말 뭐하나 싶다. 남의 일이 아니다. 경찰은 보다 더 통제와 감시를 받아야 한다. 이번 정권에서 너무 경찰에게 많은 권한을 주었다. 그 능력도 확인하지 않은 채. 정민씨를 찾은 이후에도 차씨는 불면의 밤을 보낸다고 했다. 그는 “열악한 현장에서 수색에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은 5% 정도다. 확률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정민씨를 찾아 너무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아직도 그 모습이 눈에 선해 트라우마처럼 남았다”고 말했다. 이어 “상류에서 떠내려올 때 시야가 좋지 않았다. 시신을 비닐이라고 착각할 정도였기 때문에 영원히 미제사건이 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그 장면이 뇌리에 강하게 박혀 떨리고 두려우면서도 다행인, 그런 양가적인 감정이 든다”고 ..

언어 2021.05.05

전집(煎집) / 갈빗집. 고깃집. 꽃집. 피자집. / 고기집(X).

집 [표준국엉대사전] ((일부 명사 뒤에 붙어)) 물건을 팔거나 영업을 하는 가게를 나타내는 말. 갈빗집. 고깃집. 꽃집. 피자집. [온라인 가나다] '집'을 앞말에 붙여 쓰는 경우는 '물건을 팔거나 영업을 하는 가게를 나타내는 말'인 경우인데, 말씀하신 의미에서는 '가정을 이루고 생활하는 집안'의 의미인 '집'이 사용된 것으로 보이므로, 붙여 쓰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따라서 '전당포 집'이나 '목수 집'은 이와 같이 띄어 씀이 적절하겠습니다. 출처: 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133509 고깃집 (o) 사이시옷 규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복합어(두 단어로 이루어진 한 단어)에서 뒷말이 '된소리(경..

언어 2021.03.03

첫사랑 (O), 첫눈 (O), 첫겨울 (O), 첫만남 (X). 첫 만남 (O).

명사 '경험, 만남, 시험'이 관형사 '첫'의 수식을 받는 구조인 '첫 경험, 첫 만남, 첫 시험'과는 달리, 관형사 '첫'과 명사 '사랑, 눈, 겨울'이 결합한 형태로 굳어져 쓰이는 '첫사랑, 첫눈, 첫겨울'은 합성어로 인정된 말이며, 합성어는 한 단어이므로, 모든 음절을 붙여 적습니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correct/korean/info?seq=2125

언어 2021.02.15

하는 겨? ('충청도 사투리'라는데.)

'하는 겨'는 충청도 사투리라는데, "하는 거야?", "하는 것인가"와 같은 표현인가? 참고. https://arca.live/b/city/691070 사투리 하니까 궁금한건데 - 도시·지리 채널 보닌쟝은 고담청주 사는데애들끼리 ~는겨 라고 많이하거든 (내생각엔 ~라는거야 줄여진거같음)근데 이게 사투리라 카든데 ㄹㅇ임??? 존나 자연스럽게 쓰다가 서울친구가 이상하게 처다보던데 arca.live 참고. 1. 의존 명사 ‘거’와 ‘것’을 써서 ‘하는 건가?/하는 것인가?/하는 거야?’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1-2. 문의하신 바와 관련하여, ‘하는 건가’의 ‘건가’는 ‘거’ 뒤에 서술격 조사 ‘이-’(다만, 생략되었음.), 어미 ‘-ㄴ가’가 붙은 것이고, ‘하는 거야’의 ‘거야’는 ‘거’ 뒤에 서술격 ..

언어 2021.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