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이 문제를 내니깐.
(이 분은 코미디를 진지하게 하네.)
(어떤 취지인지는 알겠고, 수긍이 안 되는 건 아니지만, 백인이 시험을 내서 백인이 IQ가 높다는 설명은 코미디인 듯.)
아래 이미지 출처:
https://www.fmkorea.com/index.php?document_srl=3731941006
(출처: 나무위키)
김성회는 국민의힘 당대표 경선후보인 이준석에 대해 '능력주의자 포퓰리스트'라고 비판한 바 있다. 그러나 젊은 정치인 돌풍에 대해서는 매우 호의적인데 6월 10일 KBS1 라디오 <최경영의 이슈오도독> 에서 정치인은 알아서 크는 것이다 , 요즘엔 덜하지만 예전에 정당에 총재가 있던 시절에는 총재가 꽂으면 정치 신인이라도 그대로 공천이 되었다. 그러나 첫 선거를 치르고 나서부터는 후보 자신이 정치인으로서 살아남아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라고 말했다. 또 여기서 기성 정치인이 유망한 젊은 정치인을 보면 자신의 미래를 고민해야 하는 것이지 위기의식을 느끼고 배척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면 그는 정치를 그만둘 때가 된 것 이라고 말했다.
또한, 본인이 출연하는 유튜브 한겨레TV 공덕포차 프로그램에서 한겨레가 ‘젠더 데스킹’을 이유로 이준석 출연을 취소하자, “코로나19를 솔잎차로 막을 수 있다는 사람을 저자로도 쓰는데 주저하지 않는 한겨레가 이 대표를 편집도 아니고 라이브에도 못 나오게 하는 것 자체는 이해가 안 된다”라는 발언을 하며, “한두 번 있었는지 모르지만 20대 남성이 직접 말할 기회를 거의 주지 않았던 신문(한겨레)에서 그나마 이야기를 하려는 이 대표의 말 조차 막아버리면 이 이상으로 폭력적일 수 없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겨레가 래디컬 페미니즘에 매우 매우 호의적인 언론이라는 걸 생각해보면 굉장한 일침.
6월 14일 KBS 열린토론에서는 이준석과 열띤 토론을 보여, 국민의힘 지지자들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상당히 친하다.
We suspect that successful new explanations for the test score gap will differ from their predecessors in several ways.
First, instead of emphasizing the kinds of racial differences that economists and sociologists usually study (parents’ economic resources, parents’ position in the occupational hierarchy, parents’ exposure to formal education, and parents’ living arrangements), successful theories will take more account of the factors that psychologists have traditionally emphasized (the way family members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with the outside world, for example). A good explanation of why white five-year-olds have bigger vocabularies than black five-year-olds is likely to focus on how much the parents talk to their children, how they deal with their children’s questions, and how they react when their children either learn or fail to learn something, not on how much money the parents have.
Second, instead of looking mainly for resource differences between predominantly black and predominantly white schools, successful theories will probably have to look more carefully at the way black and white children respond to the same classroom experiences, such as being in a smaller classroom, having a more competent teacher, having a teacher of their own race, or having a teacher with high expectations for those who perform below the norm for their age group.
Successful theories will therefor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psychological and cultural influences, which are much harder to measure than income, education, and living arrangements. Collecting accurate data on black and white parents’ habits, values, behavior, and ideas is not easy, and it would take time. It might well require an investment of time and effort comparable to the effort that went into developing cognitive test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ut without such work, we are in constant danger of seeing black-white differences as an inevitable byproduct of people’s genes or of “cultural” factors that nobody can change.
'기타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후 5주 아기 물어 죽인 맹견. 참혹. (0) | 2021.07.13 |
---|---|
[공신 강성태] 언제까지 왕따로 기억될래? 변화하려 노력해 봐 / 공부 시간이 중요한 게 아니다. 공부 안 한 거여요. (0) | 2021.07.12 |
문 안 열려 운전자 사망. 티볼리 사고. / 급발진. SUA. EDR. (0) | 2021.07.09 |
청와대 이철희. 헛발질. / 충주시 김선태. (0) | 2021.07.08 |
볼보. 반자율주행차급발진 주장 사고. (0) | 202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