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블로그 포스트 'https://blog.naver.com/goldenms/10088863874'를 정리한 것이다. 

 

산술급수.

 

산술이라는 말은 더해진다는 의미. 1, 2, 3, 4, 5처럼 숫자가 일정한 값이 증가되는 경우 우리는 산술적인 증가를 한다고 이야기하고 이를 등차수열이라고 말한다. 산술급수적인 증가라는 말은 이런 일련의 숫자가 더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산술급수는 등차급수와 같은 의미이고, 이를 영어로 arithmetic series라고 하는데 여기서 arithmetic 이라는 말은 "대수의"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대수적인 증가라는 것은 정수, 분수, 유리수 등을 의미하는데 이런 수만큼 변화한다는 것은 더해지거나 빼지는 가감의 문제에 국한된다는 것을 말하기 때문이다. 즉, 앞 숫자, 가운데 숫자, 그 뒷 숫자 사이의 증감을 생각해 본다면 그 합이 영이 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이 세 숫자 배열중 가운데 있는 수를 앞과 뒤의 숫자의 산술평균이라고 말하며 이는 앞, 뒤 수의 합을 2로 나눈 것으로 정의된다.

 

기하급수.

 

2, 4, 8, 16 식으로 증가하는 등비수열과 같이 기하급수는 일정한 비율만큼 곱해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geometric series라는 영문을 번역한 것으로, 일정한 값이 곱해진다는 관점에서 등비급수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기하평균은 등비수열의 가운데 항 즉, 등비중항과 같은 개념인 것이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말은 등비급수적으로 증가한다는 말과 같으며 이는 같은 비율로 일정하게 증가한다는 말을 내포한다.


이처럼 산술급수와 기하급수는 덧셈과 곱셈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일련의 수라고 볼 수 있다. 

 

멜서스가 말한 산술급수적인 식량증가와 기하급수적인 인구증가는 이 대목을 통해서 비로소 이해되리라 믿는다. 

 

또 하나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은 각각 등차중항과 등비중항을 가리키며 그 둘의 대소관계는 언제나 산술평균이 기하평균을 압도하거나 같다.

 

기하평균이 사용되는 예는 증가율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이를테면 올해 경제성장률이 4%, 내년 경제성장률이 9%일 때 평균경제성장률이 얼마인지를 구하는 질문에서 생각해볼 수있다. 산술적으로 생각하면 6.5%이지만, 실제 성장한 정도를 따져보면 이는 틀린 답임을 알 수 있다. 100의 생산량을 보유한 나라가 4%성장하여 104가 되었고 다시 9%성장하게 되면 113.36이 되므로 평균적으로는 약 6.47%상승한것으로 볼수 있다. 즉, 6.47%씩 두번 상승해야만 같은 성장량을 보인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은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고 그 쓰임새가 다른 만큼 두개의 개념을 적절히 숙지하여 혼동되지 않도록 하자.

 

 

算術級數.

幾何級數.

算術平均.

幾何平均.

等差數列.

等比數列.

 

반응형

노력하는 자, 아름답다. 

 

https://www.youtube.com/watch?v=m6rUieSWFGo 

반응형

애플은 설 명절을 기념해 아이폰13 Pro로 찍은 단편영화 ‘권토중래(Comeback)’를 21일 자사 유튜브 채널에 공개했다.

 

그동안 ‘Chinese New Year’란 표현은 국제적으로 비판의 대상이 됐다.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과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여러 아시아 국가에서도 똑같이 음력 설을 쇠는데 이를 무시하고 중국 고유의 명절인 것처럼 잘못 알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구글의 경우 검색창에 ‘Lunar New Year(음력 설)’을 입력하면 ‘Chinese New Year(중국 설)’로 나왔는데 국내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의 항의를 받고 지난해부터 바로잡았다.

 

권토중래 捲土重來

1. 땅을 말아 일으킬 것 같은 기세로 다시 온다는 뜻으로, 한 번 실패하였으나 힘을 회복하여 다시 쳐들어옴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두목의 <오강정시(烏江亭詩)>에 나오는 말로, 항우가 유방과의 결전에서 패하여 오강(烏江) 근처에서 자결한 것을 탄식한 말에서 유래한다.

2. 어떤 일에 실패한 뒤에 힘을 가다듬어 다시 그 일에 착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그는 입사 시험에서 낙방한 뒤 권토중래의 마음으로 외국어 학원에 등록했다.

- 임술년의 강제검 난리와 지난번 방성칠 난리를 주장했던 그 마을에 올라가 대오를 가다듬고 권토중래의 모략을 세움도 뜻있는 일이었다. 출처 <<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반응형

아이폰뿐만 아니라, 이런 서비스가 전면적으로 확대될 듯. 


미 애플은 지난 13일(현지 시각)부터 전 세계 아이폰 운영체제 업데이트를 통해 아이폰 사용자가 사망하면 가족·지인이 아이폰 계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도입했다. 아이폰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폰과 클라우드(가상 서버) 서비스인 아이클라우드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을 5명까지 미리 지정해두면, 사용자 사후(死後) 아이폰에 저장된 사진·영상·전화번호 같은 개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23&aid=0003659931

 

반응형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토착왜구"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적절한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土着

1. 명사 대대로 그 땅에서 살고 있음. 또는 그곳에 들어와 정주함.
2. 명사 생물이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번식하는 일.

倭寇

명사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 우리나라 연안을 무대로 약탈을 일삼던 일본 해적.

 

왜나라

왜나라 또는 왜국(倭國, 일본어: 倭国, わこく 와코쿠), 왜(倭)는 일본의 일본 열도 남서부에 위치했던 고대의 부족국가들을 일컫던 말이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서는 국호를 왜인(倭人)이라 기술하고 있다. 왜는 701년 국호가 일본(日本)으로 바뀌기 전까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일본의 대외적인 명칭이었다. 과거 15세기까지는 단순히 일본 열도의 고대 부족국가만을 한정지어 정의했으나, 일본이 통일된 후에도 간혹 일본에 대한 멸칭(蔑稱)으로 사용되었다. (위키

도적 구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낮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박 실장의 칼럼 주장에 “글을 쓴 사람이 역사학자도 아니고 역사전문가도 아니기 때문에 귀를 기울여서 들을만한 내용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이러한 토착왜구적인 시각이 언론계에도 퍼져있는 것이 좀 한심하다”고 비판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867

Google 이미지 검색에서 나오는 사진인데, 실제로 클릭을 해서 기사를 보면, 위 사진이 없다. 

애초는 있었는데, 삭제한 건인지, 기사와는 별개로 이미지를 올릴 수 있는 건지 궁금. 

아마 타이틀용 이미지가 검색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애b

 

zzulpaen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