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저널에 따르면 운동을 하면 단 음식에 대한 생각이 줄어든다. 설탕은 자주 먹다 보면 일종의 중독 같은 증상을 불러일으키는데, 이럴 때는 꾸준한 운동을 통해 단 음식에 대한 욕구를 줄일 수 있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운동을 꾸준히 할 경우 운동 직후 음식에 대한 관심이 거의 없어진다. 반면 운동을 조금밖에 하지 않는 사람은 오히려 운동 후 단 음식에 대한 갈망이 커진다. 이것이 우리가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하는 이유다.

또한 잠을 자도 늘 ‘피곤’에 쩔어 있다면 그 때가 운동이 필요한 때다. 한 연구에 따르면 운동을 꾸준히 하면 하루 종일 피곤할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정신이 맑고 활력이 넘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많은 사람들이 피곤하기 때문에 잠을 자거나 하루 종일 앉아 있는 선택을 하지만, 오히려 조금 힘을 내 산책이라도 한다면 오히려 신체는 활력을 찾는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3591996

 

 

 

 

끝. END. .


 

반응형

이 기사를 보고, 술은 하루에 한 잔만 하기로 결정했다. 

 

Q : 소량 음주는 괜찮지 않나.
A : “사람들은 어떤 식품에 발암물질이 단 한 개라도 들어가 있다고 하면 절대 안 먹는다. 술의 주성분인 알코올과 그 대사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는 인체에서 암을 일으키는 1군 발암물질이다. 음주에 의한 발생 위험도는 식도암 30%, 구강인두암 17%, 간암 8%, 대장암 7%, 유방암 5% 증가한다. 예전에는 하루 두잔은 괜찮다고 봤지만, 유럽에선 이미 2014년 소량 음주에도 암 발생이 증가하므로 안전한 음주량은 없다고 결론 내렸다.”

 

https://news.v.daum.net/v/20210616000318084

 

 

 

반응형

▶ 이 기사를 보니 채식의 역사를 알고 싶다. 

 

 

<몸을 죽이는 자본의 밥상>이 제기하는 논쟁점은 대략 세 지점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그것들이 모두 자본주의체제의 불의한 증상들라는 것이다. 첫째는 육식의 생산과 유통, 둘째는 의료와 약품, 마지막으로 GO 및 NGO 문제다. <몸을 죽이는 자본의 밥상>은 위의 세 분야가 모두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비인간적으로(개체로서의 인간에게 대체로 위험한 쪽으로)' 운용되고 있다고 비판한다. 요지는, 위 세 분야가 만들어내는 협력이 '공동 선'과는 전연 무관한데, 그것들이 자본주의 체제 친화적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https://movie.v.daum.net/v/20210614154801807

반응형

토피왈라 연구원은 "적당히 마시면 해가 없거나 심지어 건강을 보호해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지나치게 많다"고 우려했다.

 

그는 "치매 등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치료법'을 아직 찾지 못한 만큼 뇌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요인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술의 위험성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이전의 연구에 따르면 모든 종류의 술은 전반적인 건강에 해롭다.

런던 킹스칼리지의 노인 정신건강의학과에 근무하는 토니 라오 박사는 "위험성이 낮은 음주 수준에서도 음주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뇌손상에 더 큰 역할을 한다는 증거가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

 

1. 신체 활동 늘리기.

 

2. 근력 운동도 함께.

 

3. 음식 잘 골라 먹기.

 

4. 스트레스 관리. 

 

 

출처: 

news.v.daum.net/v/20210302080204722

반응형

+ Recent posts